전체 글 (6) 썸네일형 리스트형 [Figma] export할 때 크기가 바뀐다면 어셋이 원하는 크기로 안 뽑힌다? export할 때 내가 만든 크기와 다르게 나온다면? 💡그건 snap to pixel grid가 비활성화 되어있는 상태에서 작업했기 때문! x, y 좌표가 소수점이지 않은지 확인해보자 예를 들어 200*200의 정사각형을 만들었는데 도형이 위치한 좌표가 소수점이라면 뽑을 때 크기가 달라진다. 픽셀에 맞추는 방법 preferences_snap to pixel grid를 켜는 것이다. 켜져있는 상태에서는 어셋이 무조건 픽셀에 맞춰지기 때문에 소수점이 나오지 않는다. 단축키는 ctrl+shift+' 보통은 스냅을 켜고 작업하지만 스냅을 꺼야할 때는 언제일까? 완벽히 가운데 정렬이 되어야 할 때다. 스냅을 켜놓으면 1픽셀 단위로 움직여서 한쪽으로 치우치기 때문에, 꼭 가운데 정.. [Zeroheight] 디자인 시스템을 쉽게 제작, 관리하는 툴 현재 회사 프로젝트 사이즈가 작아서 스타일가이드와 컴포넌트를 피그마 한곳에 때려넣고 관리하는데 점점 개수가 늘어나다보니 원하는 아이콘, 컴포넌트를 찾기 힘들다..(반성 ;_; ) 결정적으로, 디자이너가 생각하는 버튼은 '버튼처럼 생긴 것' 개발자에게 버튼은 '눌러서 작동하는 모든 것' 이라는걸 알게 된 후 용어를 정리하고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되었다. 그렇게 디자인시스템을 검색하던 중 찾게 된 툴! Zeroheight https://petpharm.zeroheight.com/landing zeroheight · document your design systems, together Create beautiful design system documentation collaborativel.. [강의] 도그냥 역기획 강의 듣게 된 이유 맥비톡방에 공유된 정보를 보고 신청했다. UX/UI 디자이너이지만 회사에 기획자가 없어서 기획과 관련된 일은 거의 내가 하고있다. 기획자란 역할이 괜히 있는게 아니다..!😭 원래 기획에 관심이 많아서 책도 많이 읽고 강의도 보지만 실무는 어나더레벨이다. 내용 강의는 총 3시간으로 나눠서 진행되었다. 1부는 서비스 기획에 대한 설명 / 2부는 역기획 / 3부는 질문과 답변시간 진짜 3시간이 어떻게 갔는지 모르게 너어어어어어어어어어무 유익한 시간이었다. 배운 내용대로 공부하면서 다음에는 실제로 역기획을 해보는 강의를 신청해야겠다! 1부 - 서비스 기획이란? 기획자가 없는 회사에서는 대부분 대표님이나 상무님에게서 일이 떨어진다. "이번에 이런게 유행인거 같은데 우리도 해보지?" "어제 갑자기 생.. [Figma]오토 레이아웃으로 반응형 하단 네비게이션 만들기 완성 화면 하단에 고정된채로 좌우여백을 유지하면서 사이즈가 바뀐다. 차근차근 해보기! 👊 1. 사이즈에 맞는 아이콘 영역 만들어서 아이콘 + 텍스트 + 배경영역 모두 잡고 그룹화하기 > 그룹을 프레임으로 변경 예) 가로가 360이고 아이콘 개수는 4개다 = 영역 넓이는 90 2.위에서 만든 프레임을 복사 해서 나열해주기 3.나열해준 프레임 전체를 잡고 오토레이아웃!(shift+A) 4. (중요!) 안에 들어간 프레임을 선택하고 우측 상단에 프레임 설정을 Fill / Fixed로 바꾼다. 5. 마무리 하단 네비게이션은 높이가 변하지 않고 밑에 계속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전체 프레임의 설정을 하단 중간, 스페이싱 모드(...누르면 나오는 설정)는 Packed로 하면 된다. [UI / 안드로이드] 다이얼로그, 스낵바, 토스트의 차이 정보 전달 모바일에서 사용자의 액션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방법 3가지, 안에 들어가는 정보의 양이 많은 순서대로 나열하면(구글 머터리얼 디자인 기준) 다이얼로그 > 스낵바 > 토스트 다이얼로그(Dialog) 머터리얼 디자인3_다이얼로그 - 기본구조 : 앞으로 이용할 정보 설명 + 버튼 (레이어 팝업 형태) - 상황 : 사용자의 동의가 필요한 정보 / 반드시 확인해야되는 정보 *다이얼로그는 사용자의 행동을 막는 팝업(주로 dimmed된 배경)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할때만 띄우는게 좋다. 스낵바(Snackbar) 머터리얼 디자인3_스낵바 - 기본구조 : 1~2줄의 짧은 설명 / 설명 + 버튼 (화면 하단이 기본 위치) - 상황 :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짧은 피드백 *휘뚜루마뚜루 쓰기 적당함(토스트 너.. 안드로이드12부터 변경된 스플래시 화면 스플래시 화면? 사용자가 앱을 실행하고 처음 만나는 화면 주로 서비스의 로고나 슬로건을 보여주기 + 앱 실행을 위한 리소스를 다운받는 대기화면 으로 사용된다. 변경 내용 안드로이드 12 이상부터 지정된 크기의 아이콘이 보이는 화면이 추가되었다. 한마디로 스플래시 화면이 두 번 뜨게 되는 것..! 22년11월 기준 최신버전은 안드로이드 13 나무위키 참조 변경 이유 대체 왜 바뀌어야 하는가.. 빛의 속도로 스플래시가 두 번 뜨는건 이상해.. 찾아보니 이런 설명이 있었다. 흠.... '콜드 스타트'와 '웜 스타트'의 경우 로딩이 길 때 사용자에게 앱이 실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용도 콜드 스타트와 웜 스타트가 뭣인디..? 콜드 스타트 : 앱 프로세스가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음 (첫 실행, 본체를 껐다 켜는 경우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