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디자인

[UI / 안드로이드] 다이얼로그, 스낵바, 토스트의 차이

 

정보 전달

모바일에서 사용자의 액션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방법 3가지,

안에 들어가는 정보의 양이 많은 순서대로 나열하면(구글 머터리얼 디자인 기준)

다이얼로그  >  스낵바  >  토스트

 

다이얼로그(Dialog)  머터리얼 디자인3_다이얼로그

- 기본구조 : 앞으로 이용할 정보 설명 + 버튼 (레이어 팝업 형태)

- 상황 : 사용자의 동의가 필요한 정보 / 반드시 확인해야되는 정보 

*다이얼로그는 사용자의 행동을 막는 팝업(주로 dimmed된 배경)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할때만 띄우는게 좋다.

 

 

 

캡처가 아이폰;;; 기능은 동일하기 때문에...!!

 

 


스낵바(Snackbar)   머터리얼 디자인3_스낵바

- 기본구조 : 1~2줄의 짧은 설명 / 설명 + 버튼 (화면 하단이 기본 위치)

- 상황 :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짧은 피드백 

*휘뚜루마뚜루 쓰기 적당함(토스트 너무 짧고 다이얼로그 너무 길다!할 때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토스트(Toast) 머터리얼 디자인1_스낵바

- 기본구조 : 1줄 이내의 짧은 설명 (버튼 x)

- 상황 :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짧은 피드백 

*토스트는 화면밖으로 스와이프해서 끌 수 없다.

 

토스트는 머터리얼 디자인3에는 찾을 수가 없어서 머터리얼 디자인1에 있는 자료를 첨부

토스트가 나오는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라고 알고 있는데 스낵바의 별명같은 느낌이려나..?